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91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무지의 먹방 라이브
* 효율성 테스트에 부분 점수가 있는 문제입니다.
평소 식욕이 왕성한 무지는 자신의 재능을 뽐내고 싶어 졌고 고민 끝에 카카오 TV 라이브로 방송을 하기로 마음먹었다.

그냥 먹방을 하면 다른 방송과 차별성이 없기 때문에 무지는 아래와 같이 독특한 방식을 생각해냈다.
회전판에 먹어야 할 N 개의 음식이 있다.
각 음식에는 1부터 N 까지 번호가 붙어있으며, 각 음식을 섭취하는데 일정 시간이 소요된다.
무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음식을 섭취한다.
- 무지는 1번 음식부터 먹기 시작하며, 회전판은 번호가 증가하는 순서대로 음식을 무지 앞으로 가져다 놓는다.
- 마지막 번호의 음식을 섭취한 후에는 회전판에 의해 다시 1번 음식이 무지 앞으로 온다.
- 무지는 음식 하나를 1초 동안 섭취한 후 남은 음식은 그대로 두고, 다음 음식을 섭취한다.
- 다음 음식이란, 아직 남은 음식 중 다음으로 섭취해야 할 가장 가까운 번호의 음식을 말한다.
- 회전판이 다음 음식을 무지 앞으로 가져오는데 걸리는 시간은 없다고 가정한다.
무지가 먹방을 시작한 지 K 초 후에 네트워크 장애로 인해 방송이 잠시 중단되었다.
무지는 네트워크 정상화 후 다시 방송을 이어갈 때, 몇 번 음식부터 섭취해야 하는지를 알고자 한다.
각 음식을 모두 먹는데 필요한 시간이 담겨있는 배열 food_times,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한 시간 K 초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몇 번 음식부터 다시 섭취하면 되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
- food_times 는 각 음식을 모두 먹는데 필요한 시간이 음식의 번호 순서대로 들어있는 배열이다.
- k 는 방송이 중단된 시간을 나타낸다.
- 만약 더 섭취해야 할 음식이 없다면 -1을 반환하면 된다.
- food_times 의 길이는 1 이상 2,000 이하이다.
- food_times 의 원소는 1 이상 1,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 k는 1 이상 2,000,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 food_times 의 길이는 1 이상 200,000 이하이다.
- food_times 의 원소는 1 이상 100,000,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 k는 1 이상 2 x 10^13 이하의 자연수이다.
[3, 1, 2] | 5 | 1 |
입출력 예 #1
- 0~1초 동안에 1번 음식을 섭취한다. 남은 시간은 [2,1,2] 이다.
- 1~2초 동안 2번 음식을 섭취한다. 남은 시간은 [2,0,2] 이다.
- 2~3초 동안 3번 음식을 섭취한다. 남은 시간은 [2,0,1] 이다.
- 3~4초 동안 1번 음식을 섭취한다. 남은 시간은 [1,0,1] 이다.
- 4~5초 동안 (2번 음식은 다 먹었으므로) 3번 음식을 섭취한다. 남은 시간은 [1,0,0] 이다.
- 5초에서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했다. 1번 음식을 섭취해야 할 때 중단되었으므로, 장애 복구 후에 1번 음식부터 다시 먹기 시작하면 된다.
from operator import itemgetter
def solution(food_times, k):
foods=[]
n=len(food_times)
for i in range(n):
foods.append((food_times[i], i+1))#tuple
foods.sort() #food_times[i]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
pretime = 0
for i, food in enumerate(foods): #i는 인덱스
diff= food[0] - pretime
if diff!=0:
spend= diff * n
if spend<= k:
k-=spend
pretime=food[0]
else:
k %= n
sublist= sorted(foods[i:], key = itemgetter(1)) #1번 인덱스에 대하여 오름차순 정렬
return sublist[k][1]
n -= 1
return -1
https://www.youtube.com/watch?v=zpz8SMzwiHM&feature=youtu.be
위 영상을 보고 풀었다.. 코드 따라적음
이건 다시 풀어야할듯.. 나 레벨4는 아직 못 푸나봐..ㅠㅠ
그냥 완전 탐색으로 풀다가 정확도는 통과했는데 효율성 통과를 못해서
알고리즘 다시 짜다가 못 풀겠어서 풀이를 봤다
2번의 연산으로 답을 구할 수 있었다
저런 문제 풀이는 어떻게 하는걸까 씽크빅 좀 할걸..
무지는 무슨 음식을 1억초동안 먹는데.. 어이없어
'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숫자 변환하기 파이썬 lv2 (0) | 2023.06.24 |
---|---|
[프로그래머스] 요격 시스템 lv2 (0) | 2023.06.24 |
[프로그래머스] 타겟넘버 파이썬 풀이 lv2 (0) | 2023.06.23 |
[프로그래머스] 연속된 부분 수열의 합 (0) | 2023.06.23 |
[프로그래머스] 공원 산책 lv1 파이썬 풀이 (0) | 2023.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