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2024 항해99코딩클럽

99클럽 코테 스터디 29일차 TIL + ArrayList

by 푸딩코딩 2024. 6. 17.
728x90
반응형

ArrayList는 배열을 기반으로 한 컬렉션의 하나이며, 데이터를 추가, 삭제시 내부에서 동적으로 배열의 길이를 조절해 줍니다. ArrayList를 생성하게 되면 내부에서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Capacity 크기의 저장공간이 할당되며, 사용중 데이터의 크기가 이 Capacity의 크기를 넘어서게 되면 저장공간이 새롭게 할당됩니다.
 
ArrayList 데이터 삭제시


 
1) ArrayList vs 배열
배열은 길이가 고정된 반면 ArrayList는 배열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가변적입니다.
 
2) ArrayList vs Vector
 ArrayList와 Vector는 멀티 스레드 환경을 위한 동기화를 제외하고는 거의 유사합니다. 다만, ArrayList는 동기화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대신 그만큼 처리 속도가 빠릅니다. 
 
3) ArrayList vs LinkedList
ArrayList는 내부적으로 배열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바로 알 수 있어 데이터를 읽는 속도가 LinkedList에 비해 빠릅니다. 대신 데이터를 중간에 삽입하거나, 삭제가 빈번한 경우에는 데이터의 이동없이 연결정보만을 가지고 있는 LinkedList가 더 효율적입니다. 
출처: https://kadosholy.tistory.com/118 [KADOSHoly:티스토리]

728x90
반응형